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671.jpg
KCI등재 학술저널

스마트 도시론의 급진적 재구성

르페브르의 ‘도시혁명’론을 바탕으로

  • 105

본 논문은 주류 스마트도시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르페브르의 ‘도시혁명’과 ‘도시사회’ 개념을 바탕으로 스마트도시론을 급진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한국의 스마트도시론을 그에 내재된 국가중심적 발전주의, 산업주의, 기술결정론에 초점을 두어 비판한다. 이어서, 르페브르의 도시혁명과 도시사회 개념을 소개하고, 그를 바탕으로 스마트도시 현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스마트 도시에 대한 ‘방법론적 국가주의’와 ‘방법론적 도시주의’적 인식론을 비판하면서, 만남과 마주침을 통한 도시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스마트 도시를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도시적 만남과 마주침의 과정이 스마트 기술과 연결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에 대해 논하고, 보다 해방적인 도시사회의 형성을 위해서는 자유로운 만남과 마주침을 가로막는 장애물에 대해 저항하는 급진적인 마주침의 정치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a critical re-reading of smart city discourses on the basis of the Lefebvrian concepts of urban revolution and urban society. First, it criticizes the Korean smart city discourses for their state-centered developmentalism, industrialism, and techno-determinism. Second, it provides a critical analysis on the smart city phenomena on the basis of the Lefebvrian concepts of urban revolution and urban society. In particular, it criticizes the ‘methodological nationalism’ and ‘methodological cityism’ inherent in the Korean smart city discourses, and suggests to see the smart city pheonomena through the urban lens, not through the ‘city’ perspective. Also, it discusses the ways in which the urban processes of assembling and encountering can be positive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smart technologies. Finally, it emphasizes that the construction of emancipatory urban society requires radical politics of encounter that resists against all kinds of forces separating between people, things and spaces in urban society.

1. 들어가며

2. ‘스마트도시’ 이데올로기

3. 스마트 도시론의 급진적 재구성

4. 맺으며: 스마트 기술과 해방적 도시사회의 만남은 가능한가?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