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연이굴 유적은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구래리에 자리한 동굴유적으로, 연세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2015년 6월말부터 약 30일간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발굴을 통해 석기와 동물화석을 수습하였고 몇몇 층위에서 약 14,000~17,000 BP에 해당하는 절대연대값을 얻었다. 연이굴 유적은 지금까지 발굴·조사된 다른 구석기시대 동굴유적과 연계하여 분석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 글을 통해 연이굴 유적에서 출토된 동물화석의 종적 구성을 정리하여 유적이 형성된 시기의 동물상과 자연환경을 밝히고자 한다. 연이굴 유적에서 출토된 동물화석은 총 182점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대형포유류에 속하는 뼈는 83점이었다. 종적 구성은 사향노루(Moschus moschiferus), 노루(Capreolus capreolus), 사슴(Cervus sp.), 산양(Naemorhedus goral), 곰(Ursus arctos), 토끼(Lepus sp.), 뒤쥐(Sorex sp.), 비단털쥐(Cricetulus sp.), 갈밭쥐(Microtus sp.), 박쥐(미분석), 지빠귀(Turdus naumanni)로 이루어져 있다. 최대뼈대수가 가장 많은 종은 사향노루(36점, 43.4%)와 산양(32점, 38.6%)으로, 두 종의 뼈대수가 대형포유류 뼈 전체의 82%를 차지한다. 어린 개체를 포함한 종별 최소마리수는 산양 6마리, 사향노루 6마리, 곰 3마리, 사슴 3마리, 노루 1마리, 토끼 1마리로 총 20마리를 확인하였다. 자른 자국(Cut marks)은 산양, 사향노루, 곰, 사슴의 뼈에서 확인하였으며, 자국이 나타난 뼈의 개수는 30점(20.8%)이다. 자국 유형은 긴뼈의 대롱 부분에 산발적으로 분포한 짧고 얕은 자국이 대부분으로, 자국의 위치와 유형을 고려했을 때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도살·해체 행위가 이루어지진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룬 대형포유류는 산양과 사향노루이다. 지금까지 발굴·조사된 구석기시대 동굴유적에서 가장 많이 확인된 동물이 사슴과(科) 동물인데 반해 연이굴 유적에서는 산양과 사향노루가 가장 높은 출토 비율을 차지한다. 이러한 차이가 생긴 원인은 각각의 동물이 가지는 서식 특성과 관계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분석하면 유적이 형성될 당시의 자연환경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이굴 유적 주변의 자연환경은 산양과 사향노루가 살기 적합한 서늘한 기후의 가파른 산악지대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
Yeon-I Cave site in Yeongwol is situated in Gurae-ri, Sangdong-eup, Yeongwol-gun, Gangwon-do, Korea and an excavation survey of this cave site was conducted by Yonsei University Museum for about 30 days starting from end of June, 2015. Through this excavation, they collected stone tools and animal fossils, and was able to get the absolute dating data corresponding to around 14,000 ~ 17,000 BP from some layers. Yeon-I Cave site is the data available of new analysis connected with other cave sites in the Paleolithic era, where excavation survey was conducted so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which species are included in the animal fossils excavated from Yeon-I Cave site, by which the fauna and the paleoenvironment at the time when the site was formed can be figured out. As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animal fossils in Yeon-I Cave site, the total number of excavated animal fossils was 182 pieces and 83 pieces out of them were of large mammals. For the species, the fossils were from the species of Moschus moschiferus, Capreolus capreolus, Cervus sp., Naemorhedus goral, Ursus arctos, Lepus sp., Sorex sp., Cricetulus sp., Microtus sp,, Chiroptera(not analyzed) and Turdus naumanni. The NISP was two animals of Moschus moschiferus (36 pieces, 43.4%) and Naemorhedus goral (32 pieces, 38.6%) to account for 82% out of the total animals from large mammals and The MNI including young animals was six Naemorhedus goral, six Moschus moschiferus, three Ursus arctos, three Cervus sp., one Capreolus capreolus, one Lepus sp., that total 20 animals were identified. Cut marks were identified from the bones of Naemorhedus goral, Moschus moschiferus, Ursus arctos, and Cervus sp., and the quantity of bones with cut marks was 30 pieces(20.8%). For the pattern of cut marks, most of them are short and shallow cut marks that are distributed sporadically on a tube part of long bones and taking consideration of the pattern and location of the marks, it seems that such systematical and organized butchering and carcass-processing behaviors were not conducted at the site. The large mammals addressed in priority in this study are Naemorhedus goral and Moschus moschiferus. In general, it shows higher excavation rate of animals belonging to Cervidae in cave sites. On the other hand, Yeon-I Cave site shows the highest excavation rate of Naemorhedus goral and Moschus moschiferus. This difference is inferred for the reason related to the inhabitation features of each animal. if analyze each animals inhabitation features, it is able to utilize in the restoration process of the paleoclimate and paleoenvironment of Yeon-I Cave site. Therefore,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around Yeon-I Cave site was included in such steep mountainous areas in cool climate, where was suitable for living of Naemorhedus goral and Moschus moschiferus.
Ⅰ. 머리말
Ⅱ. 연이굴 유적의 입지와 층위
Ⅲ. 연이굴 유적 출토 동물화석의 분석
Ⅳ. 연이굴 유적의 자연환경과 기후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