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적으로 관광객들의 음식관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특정지역의 음식문화에 대한 요소들은 충분히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광주를 여행하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관광자원으로서 음식문화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간 차이규명과 가설검증, 최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광주지역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초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음식문화속성의 전통체험성, 지역정체성, 지역특수성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연구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음식문화속성 각 세부항목에 대한 최우선순위결과, 지역특수성의 최우선순위는 “지역만의 특유한 음식 맛 경험” 으로 도출되었다. 지역정체성에서는 “지역을 대표하는 음식브랜드 보유”로 나타났다. 전통체험성은 “계절성을 반영한 음식문화 체험프로그램운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관광자원으로서 음식문화속성의 최우선순위에 해당되는 항목들을 중심으로 광주음식과 관광을 연계한 쿠킹투어(Cooking tour) 관광상품, 지역의 음식문화 이미지화, 브랜드화 작업,‘남도집밥체험’의 음식관광 상품화를 제안하였다.
While the interest in food tourism among tourists has increased, elements of food culture in specific regions are not fully established. Based on these issu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basic plan for revitalizing Gwangju food tourism by identify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food culture attributes as a tourism resource for tourists traveling to Gwangju, conduct hypothesis test, and demand analysis to derive the highest prior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t-test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cessary level (importance) and the current level (satisfaction level) for the detailed items of food culture attributes perceived by touris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of the hypotheses were adopted si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raditional experience of food culture attributes, regional identity, and regional specificity. The local unique food experiences, representative food brands, and food culture experience programs that reflect seasonality were the priorities in each categor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cused on elements that are the top priority of food culture attributes and proposed the following: 1) Cooking tour tourism products linking Gwangju food and tourism, 2) Local food Cultural image and branding work, and 3) Commercialization of Namdo house rice experience .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실증분석
V.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