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인도네시아 한국어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Indonesia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tus and Improvement Plan

  • 993
152669.jpg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내 대학의 한국어학과를 학제별로 문의 조사 수집한 내용으로 인도네시아 한국어 교육 현황을 학제별 교육목표, 교육내용(개설된 교과목), 한국어 관련 교수시간 배정, 교사 인력 현황을 중심으로 파악하고 인도네시아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의 교육현황을 파악하여 인도네시아 내 한국어교육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한국어학과’의 명칭으로 개설되어 운영하고 있는 학위과정은 총4곳, 비학위과정은 11곳으로 조사되었으며 대학유형은 종합대학과 4년제 학사과정과 사범대, 전문대학 3년제 디플로마 과정으로 이루어져있었다. 학제별로 한국어 교육 현황을 파악한 결과 인도네시아의 한국어학과는 학습 목적별로 크게 학문 목적, 한국어교원 양성 목적, 취업목적으로 나눌 수 있겠다. 인도네시아에서 한국어 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인도네시아 내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에 보완이 필요하며 학습자 변인 특성에 부합하는 영역별 교재 개발과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해 한국문화교육과 한국문화체험의 기회가 확충되어야 할 것을 제언 하였다.

This study is a collection of inquiries and survey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s of universities in Indonesia based on the interdisciplinary statu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onesia 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open courses), Korean language teaching hours, and teacher manpower status. By grasping the education status of Korean departments at universities in Indonesia,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onesia was suggested. Currently, there are 4 degree courses and 11 non-degree programs opened and operated under the name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Indonesia, and the university type is a university, four-year bachelor s course, teacher s college, and three-year diploma course. It was made. As a result of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school system,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 Indonesia can be divided into academic purposes,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urposes, and employment purposes. In order to develop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onesia,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 Indonesia, and the opportunities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Korean cultural experience should be expanded to develop textbooks and develop Korean language skill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 variables. Suggested.

Ⅰ. 서 론

Ⅱ.인도네시아 한국어 교육 현황

Ⅲ. 인도네시아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의 현황

Ⅳ. 인도네시아 한국어교육 개선 방안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