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종가(宗家)의 접빈(接賓)을 위한 찻상차림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에 내재된 생활문화적 가치를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종가에 대한 사례조사 내용이 기술된 『대한민국 명문종가 100』을 고찰하여 차(茶)를 활용해 접빈의 찻상차림을 이행한 7종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각 종가의 가력(家歷)을 살펴봄으로써 접빈을 위한 찻상차림의 역사적 배경을 파악하였으며, 찻상차림의 계절별 문화적 특징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접빈을 위한 찻상차림은 자연과 공존의 삶을 살아온 종가의 역사를 한 잔의 차(茶) 속에 담아내는 지혜의 문화를 반영하였다. 둘째, 접빈을 위한 찻상차림 가운데 차와 함께 준비되는 병과(餠菓)를 문헌으로 기록하거나 내림음식으로 전수하는 종가의 정성이 깃든 문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접빈의 찻상차림에는 인간관계의 정심(正心)을 중시하는 종가의 예(禮) 교육의 문화가 내재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종가의 접빈을 위한 찻상차림은 한국의 차문화와 관련하여 변화, 발전되어온 유·무형의 생활양식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in the head family and to investigate the values of living culture inherent in it. For this purpose, seven head families that prepared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were selected from『100 prestigious head families in Korea』, a document based on a case study. In additi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of each head family was identified,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season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showed a culture of wisdom that contained the history of the head family who had lived a life of coexistence with nature in a cup of tea. Second, it was possible to discover the culture of the head family s sincerity, which was written in literature or passed down as the inheritance food on rice cakes and cookies prepared with tea for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Third, in the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there was a culture of courtesy education in the head family that emphasized the right mind of human relations. In conclusion, the tea table setting for the guest hospitality of these head families has value as a tangible and intangible lifestyle that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in relation to Korean tea culture.
Ⅰ. 서 론
Ⅱ. 고찰대상 종가의 가력(家歷)
Ⅲ. 종가의 접빈을 위한 찻상차림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