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682.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 문화적 변인에 따른 제례행례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Depending on Socio-Cultural Variables

  • 13

본 연구는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제례행례가 실질적으로 어떻게 행해지고 있는지, 그리고 사회 문화적인 배경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였으며, SPSS PACKAGE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결과를 통하여 향후 제례문화가 어떻게 변화해 갈 것인지 심도 있게 보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향후 바람직한 제례문화를 정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사회문화적인 변인 10개 중 제례행례에 있어 가장 중요한 변인은 종교였으며 본가고향, 성별, 연령, 결혼여부, 형제순위 등도 유의성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중 종교적 변인은 제례행례에 영향을 끼치는 매우 중요한 변인으로 향후 제례에 대한 종교적인 갈등은 지속될 것이라고 보아지며 이러한 상황을 대비해 각자의 종교적 상황을 이해해 줄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 또한 장자 위주의 유교식 제사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한국사회에서 부계적 혈통주의는 아직도 강하게 살아있음을 알 수 있으나 자녀가 하나뿐 이거나, 딸만 있는 가정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남성 위주의 제사계승은 점차 변화되어 갈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grasped how modern men’s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are actually implemented & what difference exists depending on socio cultural variables through questionnaire and analyzes by using SPSS PACKAGE Program. How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culture will vary later is to be profoundly investigated through this result. Further, it will be taken as basic data to establish desirable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culture later. Out of 10 socio-cultural variable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for implementation of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is religion and hometown, gender, age, marital status, fraternal priority, etc are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Among them, religious variable is quite significant variable which affects implementation of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Thus, religious conflict over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is expected to continue later. Respective religious situation needs to be understood to cope with such situation. Given that Confucian ancestral rites mainly based on the eldest son exist, it is clear that paternal jus sanguinis still prevails in Korean society. However, such succession of ancestral rites mainly based on masculine seems to be gradually changed, because homes having only 1 child or only daughter are increasing gradually.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