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珠潭 金聖運을 통해 본 18세기 초 경상우도 유림 동향
The Life of Kim Sung-woon and the Trends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Gyeongsangwu-do in the early 18th century
- 대동한문학회
- 대동한문학
- 大東漢文學 第63輯
- : KCI등재
- 2020.06
- 141 - 186 (46 pages)
이 글은 주담 김성운의 가계와 생애를 통해, 그의 학문적・당파적 정체성과 아울러 18세기 초 경상우도 유림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김성운은 ‘남명학파 남인’으로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남명학파적인 성향을 진하게 지니고 있었던 동시에, 숙종조 집권 서인에 대응하여 뚜렷한 남인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그는 고조부 김대명으로부터 이어진 학파의 전통을 계승하여 당대 덕천서원을 이끄는 인물 중 하나였는데, 이는 정인홍 계열의 남명학파가 배제된 학파 내 지형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는 침체된 남명학파를 부흥시키기 위해 이만부와 같이 저명한 외부 인사를 초빙하는 등 지역 내외의 인물들과 적극적으로 교유하였다. 남인으로서 그의 뚜렷한 행적은 『주담집』 속 그의 여행 기록에서 드러나는데, 이를 통해 당시 경상우도 유림의 동향도 살펴 볼 수 있다. 특히 과거시험장에서 벌어진 사건 기록이나 관련한 자신의 논평을 통해, 숙종 조에 발생한 첨예한 사안을 받아들이는 유림의 태도와 김성운의 인물 성격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경종 즉위 이후의 정국 동향도 여정 중에 관심을 기울여 기록하였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examine the trends of Confucian scholars in Gyeongsangwu-do in the early 18th century as well as his academic and partisan identity through the family and life of Judam[珠潭] Kim, Seong- woon[金聖運]. He had a strong tendency to Nammyeong School[南冥學派] and he had a strong characteristic of Namin[南人] in response to King Sukjong era s ruling party. Therefore he could define as “Nammyeong School Namin”. He was one of the leaders of the DeokcheonSeowon[德川書院] Confucian Academy, succeeding the tradition of the school from the great-great-grandfather Kim, Dae-myeong[金大鳴]. This was done within the internal dynamics relation of the Nammyeong School in which a group of Jeong, In-hong[鄭仁弘] s disciples was excluded. In order to revive the depressed Nammyeong School, he actively interacted with local and outer region figures by inviting prominent external figures like Lee, Man-bu. His distinct track record as Namin is revealed in his travel records. Through this, we can also see the trends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Gyeongsangwu- do at that time. Especially through the record of the incident in place of state examination and his own comments, we can see the attitude of Gyeongsang-do Confucians accepting partisan events and the character of Kim, Sung-woon. In addition, the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Gyeongjong was recorded with interest during the journey.
1. 서 론
2. 가계와 생애의 남명학파적 특성
3. 교유에서 드러나는 당파적 특성
4. 김성운이 기록한 당대 경상우도 유림의 동향
5.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