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해외직접투자와 현지국 흡수능력 관계 실증분석 연구

An Empirical Test of the Effects of Absorptive Capacity of Host Country on the inflow FDI

DOI : 10.15798/kaici.2019.21.2.123
  • 59

해외직접투자의 유입은 투자자본을 형성하고 인적자원 수준을 향상시키며 기술이전과 경쟁 강화를 통해 투자 유치국의 기술을 진보시키고 경제 성장을 촉진시킨다. 개발도상국은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해외직접투자 유치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러나 해외직접투자의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는 일치된 결론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는 투자 수용국의 흡수능력의 차이에 의해 FDI의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흡수능력이 해외직접투자의 유입과 현지국 기술진보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Hansen (1999)의 연구를 바탕으로 패널문턱 효과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2006년부터 2016년까지 11년간 중국 23개성의 첨단산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문턱 전후 각 구역의 차이에 대해서는 SUR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흡수능력의 영향을 효율적으로 추정하기 위해서 기술격차, 연구개발비 투입, 인적자본 투입으로 구분하여 흡수능력을 구분하고 문턱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FDI 유입이 현지국 기술진보에 미치는 영향은 흡수능력에 의해 결정되며 문턱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지국의 흡수능력에 따라 해외직접투자 파급효과의 한계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SUR 검증에 따라 문턱 전후 계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rio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DI and the technological progress of the host country have not been consistent. The achievement of technological progress using FDI is determined by the absorptive capacity of the host countr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bsorption capacity,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echnology progress using the panel data of China s high-tech industry from 2006 to 2016. Absorptive capacity was measured by dividing into the technical gap, the human resource input level, and R&D input level. For more efficient estimation, we used a panel threshold regression model reflecting the nonlinear change of absorptive capacity. The results showed that technological progress through FDI was influenced by absorptive capacity and there was a threshold effe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