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세계무역네트워크의 중심성과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n Centrality and Determinants of the World Trade Network: Impacts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Neo-Protectionism

DOI : 10.15798/kaici.2019.21.3.49
  • 84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본고는 네트워크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WTN의 구조적 특성, WTN과 도입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도입된 변수들이 WTN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와 방향을 동태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MDS 추정결과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변국들의 위치 변화나 상관관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MR-QAP 분석결과는 국가 간 환경오염배출량의 차이와 무역개방도의 차이가 작을수록 무역네트워크가 확대되며, 국가 간 경제규모의 차이와 ICT 수출비중의 차이가 클수록 무역네트워크가 확대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실효환율은 제1기간(2008-2010)과 제2기간(2011-2013)에서 실효환율 변화 방향의 동일성이 WTN을 확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경제규모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국가들 간 자유무역을 향한 의지와 정책, 무역부문에서의 환경과 기술 규제의 완화, 제조업분야의 글로벌 가치사슬의 확대, 국제통화기금과 지역경제협력체에서의 인위적 외환시장개입에 대한 억제 유도와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expansion of neo-protectionism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GFC),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the world trade network (WTN) using the network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estimation results, the change in position and correlation between the periphery countries is significant after the GFC. More importantly, the multiple regression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MR-QAP) analysis indicates that the WTN strengthened the smaller differen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emissions and trade openness among countries, and the larger difference of economic scale and ICT export portion among countries. Additionally, directional identity of the effective exchange rate expanded the WTN in first period (2008-2010) as well as the second period (2011-2013). This paper presents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such as a willingness to engage in a policy of free trade among developed countries, alleviate environmental and technological regulations in the trade sectors, expand the global value chain in the manufacturing sectors, and induce curbs on intentional intervention in foreign exchange markets by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nd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group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 자료와 실증분석 방법

Ⅳ. 네트워크 중심성과 MDS 중심-주변모델 분석

Ⅴ. 네트워크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