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 수출기업의 개발형 리더십이 합리형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hocracy Leadership on Market Leadership for Exporting Firms in Korea

DOI : 10.15798/kaici.2019.21.4.257
  • 12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국내 수출기업의 개발형 리더십이 합리형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개발형 문화는 혁신자 리더십과 중개자 리더십 변수로 측정하였으며, 합리형 문화 는 생산자 리더십과 지시자 리더십 변수로 측정하였다. 또한 여성 리더의 특성은 여성 리더 직위, 여 성 리더 경력의 변수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리더의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와 관련된 250개의 조사대상표본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혁신자 리더 십은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개자 리더십은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생산자 리더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 섯째, 혁신자 리더십은 생산자 리더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중개자 리더십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표본의 동질성, 개발형 문화와 합리형 문화에 대한 측정 변수, 여성 리더의 특성에 대한 매개변수와 조절변수의 활용에 대한 문제를 연구의 한계로 제시하며, 향후의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의 한계를 반영하여야 하겠다.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 of adhocracy leadership on market leadership for exporting firms in Korea. Innovator leadership and broker leadership factor were as proxy for the adhocracy culture construct. Producer leadership and director leadership factor were as proxy for the market culture construct. Women leader position and women leader carrier were as proxy for the women leade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of two hundred fifty cases with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innovator leadership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omen leader position and carrier. Second, borker leadership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omen leader position and carrier. Third, women leader position and carrier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ducer leadership. Fourth, women leader position and carrier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irector leadership. Fifth, innovator leadership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ducer leadership as well as broker leadership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irectorl readership. Limitation such as data samples homogeniety, measurement for adhocracy culture and market culture, and using mediation or moderating effect of women leader position and carrier and also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highligh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조사방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