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중국제조2025를 계획·추진하면서 2025년에는 제조업 강국 대열에 합류하고, 중국 공산당 건 립 100주년이 되는 2049년에는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고의 제조 강국을 달성하겠다는 비전과 목표를 공표했다. 이것은 미국의 패권경쟁에 도전하는 전략으로, 미국은 중국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이며, 이로 인 해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은 점점 심화되고 있다. 그 결과 한국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해 온 제조 업의 성장 동력이 급속히 약화됨은 물론 커다란 경제적 위기를 맞고 있다. 중국제조2025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대외개방정책을 확대하고, 외국인 투자기업의 내국인대우원칙 적용 및 글로벌 기업이 중국 제조 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한편 주요 프로젝트에 공동사업자로 글로벌기업들의 참여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제조2025의 3단계의 목표와 이를 실행하기 위한 9대과제, 10대 전략산업 육성 및 5 대 중점 프로젝트를 고찰하고, 이 가운데 중점추진 중인 자유무역 시범구 지정, 5G네트워크 구축, 스마 트 팩토리 및 스마트시티의 추진전략을 분석해 한국기업의 시사점 및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China has made ambitious plans for Chinese manufacturing 2025 and joined the ranks of manufacturing powerhouses in 2025, and in 2049,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t announced its vision and goal of achieving the world s best manufacturing powerhouse. This is a strategy that challenges U.S. s global hegemony and the U.S. cannot accept China as its rival. As a result, the US-China trade conflict is intensifying. As a result, the Korean growth engin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has been the driving force of the Korean economy, is rapidly weakening and is facing a major economic crisis. This paper examines the three phases of China Manufacturing 2025, nine related tasks, 10 strategic industries, and five key projects to implement them. Among them, We will examine the Chinese industries especially designation of free trade zones, 5G networks, and smart factories and smart city more closely coming up with actionable Korean companies measures.
Ⅰ.서론
Ⅱ. 선행연구
Ⅲ. 중국 제조2025 및 추진전략
Ⅳ. 한국기업의 시사점 및 대응전략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