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4차 산업혁명 시대 한국 무역업체의 uTradeHub 활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Use of uTradeHub of Korean Trading Compan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DOI : 10.15798/kaici.2019.21.4.3
  • 41

본 논문은 2008년 본격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한 One-Stop 신개념 전자무역 단일창구인 uTradehub의 활용현황에 대해 재조명 해보고 활용결정요인과 uTradehub 활용상의 장애요인이 기업의 uTradehub 활용수준과 수출성과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두고 있 다. 실증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이행하고 구조방정식 연구모형 분석법을 적용해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실증분석에는 SPSS 24.0, AMOS 24.0의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기업의 uTradehub 활용수 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부환경의 압박 및 영향과 정부의 교육지원 요인인 것으로 나타 났으며, 경영진의 uTradehub 활용에 대한 지원과 정부의 교육지원 요인이 uTradehub 장애요인에 부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uTradehub 장애요인은 uTradehub 활용수준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This paper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uTradehub, Korean e-Trade single window platform that have begun to provide one-stop trade process services since 2008.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by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research model analysis method. The programs of SPSS 24.0 and AMOS 24.0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effected the uTradehub use level of the company were the pressure and influenc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government s education support factors. The negative effects of the management s support and the government s education support factors on uTradehub obstacles were significant. uTradehub obstacl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uTradehub use level.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설정 및 가설설정

Ⅳ. 가설검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