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691.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투기 조종사에서 중력가속도 노출 후 발생한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1예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Following High G-force Exposure in a Fighter Pilot

  • 5

목적: 전투기 조종사에서 높은 중력가속도(G-Force)에 노출 후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이 발생하고 빠른 관해를 보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28세 남자 환자로 내원 10일 전부터 시작된 좌안 변시증으로 본원에 전원되었다. 내원 당시 시행한 시력검사상 교정시력우안 20/20, 좌안 20/20으로 측정되었으며, 안저검사에서 좌안의 망막하액이 관찰되고 형광안저조영검사에서 형광 누출을 보여 좌안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으로 진단하였다. 병력상 기왕력은 확인되지 않았고, 전투기 조종사로 높은 중력가속도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었다. 비행을 중단하고 경과 관찰하였으며, 2주 후 망막하액은 소실되었다. 결론: 높은 중력가속도 노출에 의해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빠른 임상경과를 보일 수 있다. 이번 증례를 통하여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를 접할 때는 철저한 병력청취를 통하여 직업 환경까지도 파악해야 하고 원인이 되는 상황을 중단시켜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 after high G-force exposure in a fighter pilot with rapid remission. Case summary: A 28-year-old male patient was transferred from a local clinic with metamorphopsia in the left eye. His visual acuity was 20/20 in both eyes. Fundus examination of his left eye showed serous retinal detachment. Fluorescein angiography revealed leakage, which led to a diagnosis of CSC. As a fighter pilot, he had been exposed repeatedly to high g-forces before symptoms occurred. His flying was then stopped, and a follow-up examination was scheduled. After two weeks, a fundus examination showed resolution of the subretinal fluid. Conclusions: CSC can develop after high g-force exposure, with a rapid clinical course. When making a CSC diagnosis, the physician should confirm potential causative environments by performing a thorough review of the patient’s occupational history and promptly terminate the likely causes.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