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691.jpg
KCI등재 학술저널

편측 상사근마비에서 자기공명영상으로 측정한 상사근 단면적과 임상양상과의 연관성

Superior Oblique Atrophy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Clinical Features in Unilateral Superior Oblique Palsy

목적: 마비안의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에서 보이는 상사근 단면적과 임상양상 및 수술 예후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세브란스병원에서 단안 상사근마비로 하사근절제술을 받은 38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전후 정면주시시 사시각, 머리기울임시 사시각, 수술 전 하사근항진, 안구회선 및 안와 MRI의 관상단면에서 상사근의 단면적을 측정하였다. 마비안과 비마비안의 상사근 단면적비(superior oblique area ratio=0.6)를 기준으로 위축, 비위축그룹으로 나누어서 수술 후 결과 등 임상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그룹 간의 수술 전 하사근항진의 정도, 수직편위 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마비안의 외회선 빈도는 위축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위축그룹과 비위축그룹의 수술 성공률은 62.5%와 95.5%, 상사시 각도의 호전 정도는 7.17 ± 5.19 prism diopters (PD)와 11.05 ± 5.59PD로 위축그룹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상사근의 위축 정도는 사시각 호전 정도, 양측 고개기울임시 상사시 각도의 차이와는 약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 편측 상사근마비 환자의 MRI에서 확인되는 상사근의 위축 정도는 마비안의 외회선 외에 다른 임상 소견과는 명확한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았으나 수술 결과와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수술 전 상사근 위축 정도는 하사근절제술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superior oblique (SO) atrophy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ith clinical features including surgical success in unilateral SO palsy.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records of 38 patients who had undergone inferior oblique (IO) myectomy due to SO palsy between January 2017 and March 2019 at our hospital. The patients with more than a 40% decrease of cross-section areas using preoperative orbital MRI were categorized into the atrophic group (16 patients). We compared surgical outcomes between the atrophic and non-atrophic groups. Results: Preoperative IO over-action and vertical devi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excyclotorsion in paralytic eyes were more frequent in the atrophic group and the surgical success (62.5% vs. 95.5%), and the degree in improvement of vertical deviation (7.17 ± 5.19 prism diopters [PD] vs. 11.05 ± 5.59 P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trophic group. The degree of SO atrophy showed a weak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hypertropia or diopter differences of bilateral head tilting. Conclusions: SO atrophy, detected using preoperative MRI of unilateral SO palsy patients did not show a definite correlation with clinical features except for excyclotorsion in paralytic eyes but did show a clin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rgical outcomes. Preoperative MRI can therefore be used for predicting surgical outcomes of IO myectomy in unilateral SO palsy patients.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