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4차 산업혁명의 IoT 산업 전략 및 정책 활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IoT Industry Strategy and Polic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OI : 10.15798/kaici.2019.21.1.341
  • 56

IoT 산업은 다양한 기업 및 산업의 서비스에 융합되어 부가가치 창출을 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의 핵심적인 인프라로서 모든 산업분야에 확산되고 있다. 특히 타 제품 대비 가전제품은 기술의 변화를 빠르게 수용하여 IoT 가전으로 진화중이다. IoT 가전은 반도체, 센서, 빅데이터, 인공지능의 결합체로서 가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이자 우리나라의 신성장 동력이다. IoT 산업은 각자 다른 적용 영역에 대하여 오픈되어 있고, 다양성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한 가지의특정 기술에 국한될 수 없다. 현존하는 기술들을 어떻게 발전시키고 연결시켜 통합할 것인가에 관하여전략 및 정책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국가적 차원의 합의와 적절한 추진 전략이필요하다. 본 연구는 주요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IoT 산업에 대한 전략 및 정책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 파악과함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he IoT industry is integrated with the services of various companies and industries to create added value. It is spreading in all industries as a core infrastructu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household appliances are rapidly evolving into IoT appliances because they are rapidly changing technology. IoT appliances is a new paradigm of household appliances as a combination of semiconductor, sensor,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 is Korea s new growth engine. The IoT industry is open to different areas of application and has diversity, so it can not be limited to one specific technology. Strategies and policies should be prioritized on how to develop, connect and integrate existing technologies. Therefore, national consensus and appropriate implementation strategies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strategies and policies for the IoT industry in major countr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주요국 IoT 산업의 현황

Ⅳ. IoT 산업의 전략 및 정책 활성화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