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소셜미디어 기업의 유료화 전략에 따른 소비행동 방향

Direction of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Monetization Strategy of Social Media Firm

DOI : 10.15798/kaici.2019.21.1.313
  • 64

최근 많은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그들의 안정적인 수익모델로 유료화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유료 소셜미디어가 점차 대중화됨에 따라 기업들은 자신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전략으로 이용자들을 유인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유료 소셜미디어는 특정 국가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시장을 상대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수많은 회원들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유료 소셜미디어가 이용자들에게 대중적인 서비스로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유료화 관련연구는 매우 드물게 진행되어 왔다. 특히,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어떠한 전략적 선택방향을택하는 것이 이용자들을 유인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이를극복하고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다소 미비하게 진행되어 왔던 소셜미디어 유료화정책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하고 기업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실무적인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검증결과, 이용자들의 환기수준을 높일 수 있는 소셜미디어 기업의 유료화 전략은 기능적 측면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들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화정책의 도입은이용자들의 긍정적 태도를 이끌어낼 수도 있는 반면, 웹환경의 급진적인 변화는 이용자들로 하여금 저항의 수준까지 동시에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Many social media firms are adopting a monetization strategy with their stable profit model. As paid social media becomes more and more popular, firms are attracting users with a variety of strategi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services they provide. These paid social media are not limited to specific countries, but are serving the global marketplace, and the number of members is increasing year by year. Although paid social media is growing as a popular service for users, there have been very few researches on monetization. In particular, it seems that there are not so many studies on how social media firms adopt which strategic direction is effective in attracting user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social media monetization policy that has been under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o suggest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rms. As a result of verifica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social media firms’ monetization strategy that enhances the user’s arousal level strengthens the functional aspect.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a monetization policy that provides useful services to users may lead to positive attitudes, but it has been found that the radical changes in the web environment can raise users to the level of resistance at the same tim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론

Ⅳ. 실증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