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물류산업의 공간적 집적과 클러스터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Integration and Cluster Formation in Korean Logistics Industry

DOI : 10.15798/kaici.2019.21.1.237
  • 20

본 연구의 배경은 기존 물류업의 공간적 분포와 클러스터가 발생하고 있고, 국가적으로 물류 클러스터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류산업의 지역별 특화정도와 집적도 및 공간적집적과 관련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국의 지역별 물류산업의 특화 분석을 LQ 지수를 통해분석하며, 이를 활용하여 Getis-Ord 지수 도출과 Hotspot 분석을 통해 시군구별 물류업의 집적도를 직접 도출하여 시각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행연구의 클러스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물류업의 유형화를 도출하고 집적현상을 도출 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물류업의 시도특별시의 시군구별 특화가 상이했으며, 특화와 공간적 집적의 형태를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물류산업의 지역별 공간적 집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공간적 집적을 통한 클러스터 형성의 원인과 향후 정부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국가 차원에서 진행하는 주요 물류거점과 물류 네트워크의 기초적인 연구가 될수 있다. 또한 물류분야에서 많이 시도되지 않은 지리경제학적 측면에서 물류산업을 바라봄으로써 객추가적인 학문적 접근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luster of the existing logistics industry are occurring, and efforts are made to construct a logistics cluster nationwide. Nevertheless, the degree of regional specialization in the logistics industry It is true that there are few studies related to the degree of accumulation and spatial aggregation. This study can analyze the specialization analysis of the regional logistics industry in Korea through the LQ index and use it to visualize the aggregation degree of logistics by municipality directly through the Getis-Ord index derivation and Hotspot analysis It is also possible to derive the aggregation phenomenon by deriv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logistics industry by using the cluster analysis method of the previous research.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specialization and spatial aggregation of the logistics industry by differentiating the differentiation of the city, And the causes of cluster formation through spatial integration and future policy suggestions of the government were presented.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that basic research on the main logistics bases and logistics networks that proceed at the national level is carried out and from the geographical and economic aspects that have not been widely used in the field of logistics, It may be possible to present additional academic accesses for the customers by looking at the result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및 방법론

Ⅳ. 물류업의 공간분포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