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양대부흥의 ‘발명’과 ‘해석적 허구’에 대한 답변
A Response to the Argument of the Great Pyongyang Revival’s Invention and Interpretive Fiction
- 고훈(Hoon Ko)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189집(2020년 여름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6
- 403 - 429 (27 pages)
평양대부흥 연구에 2015년 이만형의 연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평양대부흥의 선교학적 재해석: 반성적 선교학을 위한 복음주의와 계몽주의의 상관관계 연구”의 출판을 통하여 새로운 포스트모던 역사 이론이 등장하게 되었다. 비록 2007년 평양대부흥 100주년을 기점으로 평양대부흥의 실재성에 의심을 제기한 몇몇 학자들(김상근과 류대영)이 있었지만, 이만형의 박사 논문 출판 이전까지는 그들이 문제 제기한 것에 대하여 구체적인 연구를 수행한 작업이 없었다. 드디어 2015년 이만형은 그의 논문에서 평양대부흥은 ‘발명’ 혹은 ‘해석적 허구’라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의 주장에 대한 역사 이론적 기초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에 대한 답변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평양대부흥은 ‘발명’ 혹은 ‘해석적 허구’라는 이만형의 주장이 기초하고 있는 포스트모던 역사 이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한국사학계에 등장한 포스트모던 역사 이론과 이에 대하여 최근 한국사학계가 어떻게 반응하였는지 연구하고 참고함으로 이만형의 주장에 대하여 하나의 답변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ostmodern historical theory has been entered into the study of the Great Pyongyang Revival (hereafter GPR) because of a dissertation written by Man-Hyung Lee in 2015 at Yonsei University.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the GPR was an ‘invention’ made by missionaries and an ‘interpretive fiction’ made by Korean church historians. Nevertheless, until now, many researchers have not focused much on the historical/theoretical foundation of Lee’s assertion as an answer to his idea and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what postmodern historical theories affected his assertion and find an answer to his idea by studying Korean historians’ response to postmodern historiography.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a response to Lee’s argument, the re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writing history, and the revitalizing of a lively discussion of historical theories.
Ⅰ. 머리말
Ⅱ. 이만형과 포스트모던 역사학
Ⅲ. 포스트모던 역사학과 한국사학계 논쟁
Ⅳ. 이만형의 주장에 대한 답변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