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몸의 현상학과 몸의 사회학을 통한 몸의 부활 교리의 현대적 재해석 가능성 탐구
A Reflection upon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in Dialogue with the Phenomenology and Sociology of the Body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189집(2020년 여름호)
- : KCI등재
- 2020.06
- 229 - 254 (26 pages)
인간 실존의 근원적 형식으로서 몸이 가진 고유한 특징에 대한 최근의 현상학적, 사회학적 연구들로부터 우리는 신체화된 정체성 개념을 도출할 수 있다. 즉 모태에서부터 사람이 자신의 살아있는 몸으로 경험한 모든 삶의 관계가 그 사람의 고유한 몸과 정체성을 형성한다. 신체화된 정체성에 대한 최근의 이러한 인문 사회 과학적 통찰은 몸의 부활 교리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의 단초를 제공하며, 부활의 몸이 우리 몸에 새겨진 모든 삶과 관계 곧 우리가 몸으로 산 삶 전체가 치유되고 구속되고 회복되어 영광스럽게 변형된 몸이 될 것이라는 최근의 신학적 주장에 힘을 실어줄 것이다.
From recent phenomenological and sociological studies of the body as the fundamental form of human existence, we can derive the concept of the embodied identity. In other words, every life relationship that a person experiences through their living body from their mother’s womb forms their unique body and thus their unique identity. These recent humanities and sociological insights into the embodied identity enable a reinterpretation of the Christian doctrine of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and support recent theological claims that all the life relationships engraved in one’s body - that is, the whole life one has lived through the body - shall be healed, redeemed, restored, and gloriously transformed in the resurrection of one’s body.
Ⅰ. 서론
Ⅱ. 몸의 현상학
Ⅲ. 몸의 사회학
Ⅳ. 몸으로 구현된 전인적 구체적 인격의 부활
Ⅴ. 몸으로 산 삶의 역사 전체의 부활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