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742.jpg
KCI등재 학술저널

명대(明代)후기 산차(散茶)문화 성립과정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Loose Tea Culture in the Late Ming Dynasty

DOI : 10.29225/jkts.2020.26.2.1
  • 209

본 논문은 산차와 초청제법의 맹아기인 송·원대를 지나, 명초기 태조의 “단차폐지령” 이후 150년 이상의과도기를 거쳐, 명대 후기에 이르러 초청법과 호포법으로 대표되는 산차문화로 정립되는 과정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송·원대부터 단병차와 함께 존재했던 초차(산차), 산차 자다법 등을 여러 관련문헌기록들을 통해 명대 산차문화로의 전환에 대한 시대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명대 산차문화가 정착된16세기말 이전의 다서들를 중심자료로 삼아, 산차와 말차의 공존, 증청법과 초청법의 공존, 산차 점다법, 촬포법, 산차 자다법, 산차 포다법 등의 상호 관계와 전개과정을 파악하고 정리하였다. 결국, 명대 포다법은 절강지역에서 유행한 찻그릇을 이용한 산차 점다법(촬포법)과 강소지역에서 성행한 다호를 이용한 산차 자다법이라는 두가지 흐름에서 기원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명대 후기 자사호가 호포법의 핵심 다호로 대두되는 데에 문인다인들의 심미관이 큰 영향을 주었음을 밝히고 있다.

This paper reports the Method of San tea brewing in the Ming dynasty after an approximately 150-year transition period after emperor Taizu issued the Repeal order of Tuan tea. To this end, through various relevant documents,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transition from the Cao tea (San tea) and the method of loose tea brewing, which existed at the same time in the Song-Yuan dynasty, to the loose tea culture in the Ming dynasty. Taking the tea book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loose tea culture in the Ming dynasty in 1600 as the central data, the author respectively understood and sorted out the mutual relations and development process between loose tea and dust tea, steamed green tea and stir-fried green tea, the point tea method of loose tea, blister method, the boiling tea method, and brewing tea method of loose tea. Through this process, the origin of tea making in the Ming dynasty can be attributed to two trends: the popular tea bowl method in Hangzhou and the popular teapot method in Suzhou. In addition, under the influence of literati in the late Ming Dynasty, the paper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zisha teapots became the core tea prop of the pot brewing method of loose tea.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