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소비자들의 한국산 브랜드 추종소비행동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llowing-Consumption of Korean Brand by Chinese Consumers

DOI : 10.15798/kaici.2018.20.3.101
  • 57

본 연구는 중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산 브랜드의 추종소비행동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제품 측면에서의 평가, 문화적 측면에서의 평가, 원산지에 따른 평가 등 다양한 평가기준들을 적용하여 중국소비자들의 소비행동을 파악하였다. 하지만, 이상의 연구들의 많은 공헌에도 불구하고 최근 중국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과도한 추종소비행동을 설명하기에는 다소 부족해 보인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 고립공포감(FoMO)에 주목하여 브랜드 추종소비행동에 관한 논의를 성숙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 원산지에 대한 정보보다 고립공포감이 소비자들의 감정적 소비심리를 자극하고 추종소비행동까지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대와 30대의 청년층은 40대 이상의 장년층에 비해 고립공포감이 높게 나타나 브랜드에 대한 추종소비성향도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제품의 지식수준이 낮은 소비자일수록 원산지정보나 고립공포감 등의 외부자극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llowing consumption of Korean brands for Chinese consumer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verify acceptance of Korean brands for Chinese consumers. However, existing studies seem to be somewhat lacking in explaining excessive following consumption behavior in the Chinese market. As a tool to explain this, we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Fear of Missing Out (FoMO) and tried to mature the discussion about the following consumption of the bran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following consumption in emotional aspects such as FoMO than cognitive information like country of origin. In addition, FoMO is higher in the 20s and 30s than in the 40s, which shows that the following consumption is strong for the bran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consumers with low product knowledge level a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ternal stimuli such as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or FoMO.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론

Ⅳ. 실증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