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의 3대 주요수출시장인 베트남과 한국의 경쟁력을 분석하는 데 있다. TS (무역특화) 지수 및 RCA (현시비교우위) 지수를 사용하여 상품을 분석하였다. TS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수출 특화 상품 코드는 각각 57, 62, 78, 79, 93이었다. 베트남의 수출 특화 상품 코드는 각각 3, 7, 82, 83, 84, 85였다. RCA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높은 비교 우위 상품 코드는 2016년에 79 (3.05), 23 (2.79), 57 (2.37), 77 (2.06)이었다. 베트남의 높은 비교 우위 상품 코드는 2015년에 8(9.25), 3(5.37), 84(4.67), 7(4.41), 76(4.40), 83(4.12), 23(4.08), 24(3.12), 82(3.08), 61(2.16), 5(2.07) 등이 있다. 분석을 통해 한국과 베트남 간의 경제 협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양국 간에는 수출 특화 상품과 현시비교우위 상품이 거의 겹쳐지지 않으므로 베트남에 투자, 부가가치 글로벌 가치 사슬 (GVC) 사용, 베트남에 수출 품목 다변화, 베트남을 통한 아세안 시장 진출 강화 등의 경제적 협력을 제안했다. 본 연구는 장기적으로 한국이 베트남에 안정적인 생산 설비를 확보함으로써 경쟁력 제고와 베트남과 아세안 시장 확대를 위해 베트남과의 협력이 필요함을 확인시켜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Vietnam and Korea, which is the 3rd major export market in Korea. The authors analyzed commodities by using the TS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d the RCA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According to the TS analysis, more than 0.5 Korea’s export specialized commodity codes were 57, 62, 78, 79 and 93. Vietnam’s more than 0.5 export specialized commodity codes were 3, 7, 82, 83, 84 and 85 respectively. According to RCA analysis, Korea’s high comparative advantage commodity codes were 79(3.05), 23(2.79), 57(2.37), and 77(2.06) in 2016. Vietnam’s high comparative advantage commodity codes were 8(9.25), 3(5.37), 84(4.67), 7(4.41), 76(4.40), 83(4.12), 23(4.08), 24(3.12), 82(3.08), 61(2.16), 5(2.07) in 2015. From the analysis derived policy implications for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Vietnam. Export specialized commodities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commodities between two countries rarely overlap, so that this paper suggests economic cooperation such as investing to Vietnam, using value-added global value chain (GVC), diversifying export items to Vietnam, strengthening ASEAN market access through Vietnam. This paper confirms that Korea needs to cooperate with Vietnam to enhance competitiveness and expand Vietnam and ASEAN market by obtaining a stable production facility in the long run.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of competitiveness analysis index
Ⅲ. Trade status between Korea and Vietnam
Ⅳ. Research methodology and analysis
Ⅴ.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