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구경북의 지역 간 무역관계 변화 분석

2010년·201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 2

본 연구에서는 한국은행의 「2010년/201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대구경북 제조업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산업의 수요의존관계와 지역 간 무역관계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대구경북 지역산업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지역경제에서 각 산업은 다양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ㆍ구매하고, 최종적으로 생산된 산출물은 소비, 투자, 수출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지역산업은 자기지역은 물론 타 지역 산업과 긴밀한 연관관계 속에 분업체계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지역경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산업의 생산기술구조와 거래형태, 산업간 상호의존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구경북의 무역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제조업의 생산은 대부분 내수보다 외수에 의존하고 있어 타 지역에 대한 높은 의존구조가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간 무역수지를 분석한 결과 대구와 경북 모두 전기전자 부문을 중심으로 흑자규모가 축소되고 적자규모가 확대되었다. 셋째, 제조업 대부분의 업종은 상호유통형으로 나타났고, 실제로 지역에 소득을 창출하는 이출ㆍ수출특화형산업은 전무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mand dependence of regional industry and the change of regional trade relation by focusing on Daegu Gyeongbuk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the 2010/2013 Regional Input-Output Statistics. In the local economy, each industry produces and purchases a variety of goods and services, and the final product is consumed, invested, and exported through the sales process. In this process, the regional industry becomes a system of division of labor in close relation with its own region as well as with other regional industries. Therefore, in order to analyze the regional economy,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production technology structure, transaction type, and interdependence between industries in each local industr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duction of Daegu Gyeongbuk was more dependent on external demand than domestic deman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gional trade balance, both the Daegu and Gyeongbuk have narrowed their surplus and expanded their deficits, especially in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s sectors. Third, mos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ppeared to be interchangeable type, and many industries showed high export and import input.

Ⅰ. 서론

Ⅱ. 지역산업연관 관련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및 데이터

Ⅳ. 대구경북 무역관계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