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트 3국은 발트해 남동 해안에 위치해 있는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를 가리킨다. 기존 문헌자료나 보고서에서 발트 3국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발트 3국의 거시경제 현황과 산업 및 교역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과 발트 3국간 무역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발트 3국 시장에 대한 SWOT 분석을 이용하여 한국의 발트 3국에 대한 시장진출전략을 도출하고, 현시비교우위지수(RCA), 무역특화지수(TSI) 및 무역통계를 활용하여 한국의 발트 3국에 대한 유망 수출품목을 선정하였다. 한국은 발트 3국의 지리적 위치와 우수한 IT 기술과 적응 능력, 우수한 기술인력 공급, 정부의 적극적인 외국인투자 유치 정책 등 기회 요인들을 이용하여, 중·장기적으로는 발트 3국을 중동부 유럽 및 CIS 지역을 연결하는 물류/유통 허브로 구축해야 한다. 또한 한-EU FTA를 활용하여 발트 3국에 대한 수출 증대와 수출 품목 및 거래선 다변화를 추진해 나가야 하며, 발트 3국에 대한 내수시장 개척을 위해 ‘한국산’ 이미지 제고, 발트 3국 대상의 한국상품전시상담회 등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 한국의 발트 3국에 대한 유망 수출품목은 8개 품목(MTI 3단위 기준)인데, 자동차부품, 무선통신기기, 합성수지, 철강판(아연도강판), 플라스틱 제품, 고무제품(타이어), 금속공작기계(금속절삭가공기계, 농업용 트랙터), 인조섬유(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이다.
Baltic nations located in southeastern coast of the Baltic Sea include Estonia, Latvia and Lithuania. So far, there is no rigorous research on the Baltic nations in the prior literature.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macroeconomic and industrial status of the Baltic nations as well as the trends in trade and investment, and analyze trad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he Baltic nations. Using SWOT analysis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RCA) and trade specialization index(TSI) for the Baltic nations, this paper derives Korea’s market entry strategy and promising export items toward the three Baltic nations. Korea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hree Baltic nations, excellent IT technology and adaptability, skilled technological manpower, and their governments’ aggressive policy of attracting foreign investment to establish logistics/wholesale-retail services bridgehead, connecting the three Baltic nations to Middle Eastern Europe and CIS regions. In addition, Korea must make use of FTA with EU to increase its exports to the three Baltic nations, diversify export items and trading lines to these markets, and enhance the image of Korean products to expand the Baltic market. Among the potential exports toward the three baltic nations, the promising export items in the MTI 3 unit code are the following eight items such as automobile part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ynthetic resins, steel plates, plastic products, rubber products(tires), metal-working machinery, and synthetic fibers.
Ⅰ. 서 론
Ⅱ. 발트 3국의 거시경제 및 산업 현황
Ⅲ. 한국의 對발트 3국 무역관계
Ⅳ. 한국의 對발트 3국 무역전략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