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산학협력 활성화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r pioneering overseas market

  • 5

최근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산학협력 방식의 무역교육은 현상은 무역인력의 질적 수준 향상과 중소기업의 수출성과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수출 초보기업과 수출 경험이 없는 대학생들이 함께 해외시장 개척에 나섰을 경우 항상 좋은 성과만 있는 것은 아니다. 체계적인 교육과 준비과정이 없는 해외시장 개척 활동은 사실상 예산과 시간 낭비가 될 수 있고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GTEP, LINC, 중소기업청 사업 등 해외시장 개척 산학협력 경험자 30명을 대상으로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여 산학협력에 필요한 각 단계별 모형을 도출하였다. 학생선발, 협력기업 네트워킹, 학생교육, 해외시장조사, 전시회 발굴, 전시회 준비, 전시회 파견, 사후 관리 8단계의 모형을 제시하였고 각 단계별 진행사항 및 유의사항을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해외시장 개척 산학협력을 처음 시작하거나 성과를 높이고자 하는 각 대학 사업단 관계자들이 직접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r pioneering overseas market contributes to improve the quality of manpower and the export performance. However, performance is showing that without exporting experience, exploring overseas market is not promising. Without systematic training and preparation, pioneering overseas market can be a waste of time and budget. I have conducted interviews with 30 participant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r pioneering overseas market. As a result, I have derived a model for each phas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8 stages of this model are student selection, cooperation company networking, student education, overseas market research, selection of trade fair, preparation of trade fair, dispatch of trade fair and follow-up management. Opinions of experts have been reflected and compiled to each suggested stage. Specific details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ose affiliated who want to start the first or foremost pioneering overseas market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해외시장 개척 산학협력 사례

Ⅳ. 해외시장 개척 산학협력 모형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