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무역인력양성시스템 교육서비스품질과 만족도, 그리고 국제화 의도 간 실증적 관계

Empirical Relationships among Education Service Quality for Trade Talents, Satisfac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Intention : Glocal Trade Experts Incubating Program

  • 21

글로벌 환경에서 우수한 무역인재의 보유는 이제 국가의 수출경쟁력을 좌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전세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예외는 아니다. 다양한 무역인재양성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는 지역특화청년무역전문가양성사업에 대해 본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역특화청년무역전문가양성사업의 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국제화의도를 증폭시키는데 교육의 서비스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 있다. 그 결과, 강사품질, 교육인프라품질, 교육품질 모두가 교육만족도와 국제화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만족도는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는 단순히 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교육서비스품질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어 향후 교육자 양성에도 관심을 가져야만 우수한 무역인재가 양성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In the global management environment, having trade talents can determine export competitiveness. Therefore, most of countries are carrying ou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be able cultivate or educate outstanding trade talents. South Korea is no exception. It is carrying ou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GTEP, Glocal Trade Experts Incubating Program. Based on GTEP, this study would like to investigate empirical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international intention. As a result, all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such as educators’ quality, educational infra quality, and education qualit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ternational inten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mproving educational service quality is better than carrying out education programs simply for cultivating outstanding trade tal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분석방법론

Ⅳ. 실증결과의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