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對중국 수출경쟁력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Cosmetic Industry in China

DOI : 10.15798/kaici.2018.20.1.111
  • 100

본 논문은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수출경쟁력을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수출경쟁력 제고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된 분석도구는 현시비교우위지수(RCA), 시장비교우위지수(MCA), 무역특화지수(TSI)이고 2007년에서 2016년 사이의 UN Comtrade 데이터와 한국무역협회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은 세계시장과 중국시장에서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다. 특히,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은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의 동태적인 분석을 보면 우리나라 화장품 제품들의 점진적인 비교우위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2009년을 기점으로 경쟁력 상승세가 시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일부 화장품 품목은 중국시장에서 가지고 있었던 비교우위가 점차 약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policy suggestion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cosmetics industry. This research is mainly based on several analyzing measures of RCA, MCA and TSI. To calculate the RCA, MCA and TSI indices of Korean cosmetics industry for the period of 2007-2016, the UN comtrade data and KITA trade statistics data are used. Based on this empirical study, Korean cosmetic industry shows comparative advantage in global market and the chinese market. In particular, the competitiveness in the chinese market is higher than that of global market. A dynamic analysis of the past 10 years shows that Korean cosmetics products have gained a gradual comparative advantage, and in particular, the competitiveness has begun to pick up in 2009. However, some cosmetics have weakened their comparative advantages in the Chinese market, and countermeasures are needed.

Ⅰ. 서 론

Ⅱ. 한중 화장품 수출현황 및 한중교역 실태

Ⅲ. 연구분석 모형 선정

Ⅳ. 연구분석 방법 및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