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통상정보학회지에서 발간한「통상정보연구」의 제6권 제1호(2004년 4월 발간)부터 제20권 제1호(2018년 3월 발간)에 게재된 논문 중 “지역통상정보”에 게재된 25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역통상정보” 의 연구는 연구지역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이론중심의 연구에서 탈피하여 지역관련 실무 및 법규에 관한 연구를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피인용지수가 특정 지역과 특정 연구방법론에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지역통상정보” 분야는 연구특성에 부합하도록 FTA체결국을 포함한 주요 경제블록에 관한 지역연구로 확장할 뿐만 아니라 가치 있는 연구 및 자료로도 성장할 수 있도록 지역통상연구에 대한 역량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253 papers published in the field of “Regional Commerce Information” among the papers published from Vol. 6 No. 1 to Vol. 20 No. 1 of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udy of “Regional Commerce information” should diversify the research area. And the study of “Regional Commerce Information” was needed to expand the study on regional related practice and laws by breaking away from the theory oriented research. In addition, studies of “Regional Commerce Information” tend to focus on impact factor in specific areas and specific research methodologies. Therefore, the study of “Regional Commerce Information” should expand the research into major economic blocks including FTA signatory countries and develop into valuable research and data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ommerce Study.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해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