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전자무역 분야 논문의 분석과 제언

Meta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on e-Trade Area

DOI : 10.15798/kaici.2018.20.2.3
  • 19

한국통상정보학회 창립 20주년을 맞이하여 「통상정보연구」에 게재된 전자무역 분야 논문의 통계적 분석, 저자 및 인용 분석, 그리고 논문의 주제어 동향 분석을 하였다. 「통상정보연구」에 게재된 총 1,105편의 논문 중 전자무역 분야는 341편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08년 이후 「통상정보연구」에서 전자무역 분야의 논문 비중은 낮아졌다. 「통상정보연구」 전자무역 분야에 5편 이상 논문을 게재한 저자의 H-지수 평균은 6.28이다. 소셜미디어 활용 수출마케팅 관련 논문들과 전자무역 활용과 성과에 관한 논문들의 피인용 횟수가 높다. 「통상정보연구」에 게재된 전자무역 분야 논문에서 많이 언급된 주제어는 ‘전자무역 성과’, ‘전자무역 활용’, ‘인터넷 마케팅’, ‘EDI’, ‘수출마케팅’, ‘소셜미디어’ 등이다. 한국통상정보학회 회원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전자무역 연구 주제들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I hav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authors and citation analysis of e-Trade papers published in「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using KCI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 information. Among the 1,105 papers published in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the e-Trade sector is the largest with 341. Since 2008, the proportion of papers in the field of e-Trade has been lowered in th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Authors’ H-index average who posted 5 or more papers to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e-Trade sector is 6.28. The number of citations to papers related to export marketing using social media and papers on e-Trade utilization and performance is high. The main keywords mentioned in the paper on e-Trade sector in th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include e-Trade performance , e-Trade utilization , internet marketing , EDI , export marketing , social media . Members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need to identify the topics of e-Trade research lea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Ⅰ. 서 론

Ⅱ. 전자무역 분야 논문의 양적 분석

Ⅲ. 저자와 인용에 관한 분석

Ⅳ. 논문 주제어 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