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전자결제의 핵심요소인 선하증권(이하 B/L: Bill of Lading)의 전자화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는 무역업체 및 무역유관기관이 전자적인 ‘단절 없는 무역’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필수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래 선적 및 운송 관련 서류인 선하증권의 전자화에 대하여 정작 주요 선사에서는 전혀 활성화 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배경 및 원인에 출발하여 본 연구는 전자선하증권 및 전자무역의 전체 단계를 구성하는 핵심 참여자인 선사의 의견 및 인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향후 국가적인 역량을 집중시켜 추진하고 있는 전자선하증권 시스템의 활성화 및 발전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전자선하증권에 대한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선사에서는 전자선하증권을 선하증권 자체의 전자화로 이해하고 있으며, 선하증권의 대체 및 보완으로 전자선하증권의 개념보다는 화물운송장(SWB) 등을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음으로는 선사의 운송 업무 관련 온라인 서비스 현황과 전자선하증권에 활용에 대한 인식 및 의견을 조사하였다. 주요 선사의 경우 거래 고객을 위하여 대부분의 업무를 온라인 서비스하여 지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자선하증권의 발행 및 융통은 모든 선사에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horoughly review prior literature related to electronic bill of lading and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electronification of operational processes of both major international and domestic shipping lin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Electronic Bill of Lading; the perception on Electronic Bill of Lading; and the impediment to Electronic Bill of Lading in the perspective of shipping lines. As a result, following obstacles deter further development of e-B/L: negative attitude on the utilization of e-B/L; the matter of trust on the utilization of e-B/L; and technical issues in relation to the use of e-B/L.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The current state of electronification of operational processes in shipping companies
Ⅳ. The impediments to utilization of e-B/L in shipping companies
Ⅴ. Conclusion
국문초록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