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Pulic 등의 부가가치 지적계수(Value Added Intellectual Coefficient, VAIC)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의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의 지적자본 효율성을 측정하고, 지적자본을 구성하는 인적, 구조적, 물적 자본과 금융기관의 경영성과 간의 상관관계 및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금융회사중 부가가치 지적계수(VAIC) 및 인적자본 효율성 계수(HCE)는 은행, 보험, 증권 순으로 높았다. 한편, 아시아 주요국 및 세계 10대 은행들과 비교해 볼 때 한국을 포함한 선진국 은행들이 개도국 은행보다 VAIC와 HCE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국은 호주 등에 비하여 VAIC 및 HCE가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들어 그 수치가 하락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금융서비스 분야의 국제경쟁력 제고와 더불어 한국 금융산업이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measures the efficiency of intellectual capital of Korea s banks, financial investment companies, and insurance companies using the Value Added Intellectual Coefficient (VAIC) model, which was developed by A. Pulic and investigates into the relationship of each of VAIC’s elements - efficiency of human, structural, and material capital — with business performance of the institution. We found, first, average VAIC and human capital efficiency(HCE) of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during 2001 - 2012 were highest among banks, followed by insurance companies and securities firm. Secondly, in general, banks in advanced countries tend to have higher HCE and VAIC compared with the banks of developing countries. Thirdly,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HCE and VAIC are lower than those of Australia and even Taiwan and Thailand and have been on the decrease in recent years. This suggests that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enhance VAIC and HCE to enhance thei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지적자본의 개념과 부가가치 지적계수 모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