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업유형(B2B, B2C)이 중소기업의 정부수출지원프로그램 활용도, 수출역량 및 수출성과(재무적성과와 전략적성과)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247개의 B2B 중소기업과 137개의 B2C 중소기업에 대한 조절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B2B 기업의 정부수출지원프로그램 활용도가 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B2C 기업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B2B 기업과 B2C 기업 모두에 대해 이 변수가 전략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케팅역량과 기술역량의 경우, 이 두 변수는 모두 재무적성과와 전략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마케팅역량은 B2B 기업보다 B2C 기업에서 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으며, 기술역량은 B2C 기업보다 B2B 기업에서 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 제한점 및 향후연구가 제시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influences of firm type(B2B, B2C)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MEs’ utilization of government export assistance programs, firm capabilities(marketing & technology capabilities) and export performances(financial and strategic performance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on 247 B2B and 137 B2C cases showed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utilization of export assistance programs on financial performance was greater for B2B than for B2C SMEs. This construct, however, had no influence on strategic performance for neither B2B nor B2C cases. Further, both marketing and technology capabiliti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each of financial and strategic performances. Marketing capability, however, had a greater influence on financial performance for B2C than for B2B SMEs. Technology capability had a greater influence on financial performance for B2B than for B2C SME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 Hypotheses Development
Ⅲ. Research Methods
Ⅳ. Results
V. Conclusion
Reference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