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무역결제방식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사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5개 시중은행과 1개 외국계은행 소속 은행원 중 외환관리업무 경력을 풍부하게 쌓은 은행원들을 대상으로 다중사례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규모, 산업별 특성, 거래비용, 신용위험, 거래지역 신용도 등이 무역결제방식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행 자체의 선택요인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무역결제방식은 과거의 신용장결제방식에서 후불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무역시장이 공급자 주도 시장에서 구매자 주도 시장으로 전환하는데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본 연구는 무소구 조건의 포페이팅, 팩토링방식이 중소수출기업의 신용위험을 줄여준다는 측면에서 미래 중요한 결제방식으로 보았다. 또한 전자무역 결제방식 역시 미래에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This study implements a case study of antecedents of Korea s trade finance system in the bank s perspective. Banks play the dominant role of trade finance. Banks decide whether they accept documents or not depending on their decision of complying presentation. Furthermore, banks choose collection type of trade finance if they evaluate that the credit of issuing bank is weak. Our main findings are that firm size, industry characteristics, credit risk, transaction cost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antecedents of trade finance system. Since the seller s market changes into buyer s market, importers occupy the dominant position in the world trade market. To avoid the credit risk, exporters are expected to choose the forfaiting and factoring as a trade finance system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연구방법론
Ⅲ. 무역결제방식의 결정요인
Ⅳ. 함축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