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2011년~2013년 기간의 실측표기준의 투입산출물표(Input-output Table)를 사용하여 동 기간의 국내 해외직접투자(FDI) 유입액을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30부문)기준으로 재분류 및 통합하여 적용한 결과 3개년 평균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액은 15조 3,000억원이고, 평균총생산유발액은 45조 8,000억원으로 추계되었다.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의 특징은 감응도계수 및 영향력계수가 큰 산업인 화학제품, 전기 및 전자기기, 금속제품에 편중되어 있다. 특히 중간재로 활용되는 감응도계수가 큰 산업에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유치가 이루어지면 국내 경제적 산업파급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다.
This study is to arrange the amou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inflow into the country between 2011 and 2013, using the Input-output Table on the basis of the bench-mark table of the same period, based on the Industry Relation Table. As a result, the average amount of FDI inflow of the three years was estimated 15.3 trillion won, and the average gross product inducement amount 45.8 trillion won. The characteristic of FDI inflow is that it is weighted in the industries with the high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and the high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such as chemical products,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metal products. It is especially anticipated to attract FDI to the industry with the high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used as the intermediary product.
Ⅰ. 서 론
Ⅱ. 이론과 선행연구의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Ⅲ. 실증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