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마트폰을 포함한 각종 모바일 기기들은 여러 분야에서 전통적 개인용 컴퓨터를 차츰 대체해나가고 있으며, 컴퓨터와 인터넷에 이은 새로운 컴퓨팅 패러다임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PC와 다른 사용 환경과 모바일 기기의 하드웨어적 특성으로 인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시스템, 정보, 서비스의 품질은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성(Usability)과 애플리케이션 이용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사용자의 개인적 성과(Performance)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물리적, 환경적 사용 여건에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시스템, 정보, 서비스 품질이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성을 매개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마다의 개인별 이용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최근의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시스템, 정보, 서비스 품질이 애플리케이션의 지각된 이용성을 매개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이용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day s mobile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are gradually taking a prominent position in many areas as portable multimedia computers and establishing a new computing paradigm. Nevertheless, it would not be easy for smartphone applications to provide users with a high level of usability under the current environment due to the physical hardware characteristics of each smartphone, which are expecte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ies of system, information, and service that smartphone applications provide. Thus, this study examined: 1)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qualities of system, information, and service of smartphone applications on the perceived usability of the applications, and 2) the effect of the usability on users individual performance with the given appli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of the perceived qualities of system, information, and service of smartphone applications on the perceived usability of the applic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found a significant effect of the usability of samrtphone applications on the individual performance with the applica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토론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