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동북 3성과 극동 러시아지역의 개발전략은 현 정부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국가전략과 맞물려 그 중요성이 배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루비노항 등을 유라시아 물류네트워크의 허브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실적 변화가 뚜렷할 중국 동북 3성을 포함하여 우리나라의 투자가 병행되고 있는 러시아 극동지역, 기타 몽골지역을 대상 존으로 삼고 자루비노항을 경유 가능한 물동량 수요 여부와 예상품목 등을 전망하였다. 현지의 관련정보 등의 부재를 극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기존 정보와 원단위를 활용하였다. 이는 파일롯 연구로써 동북 3성 전역을 대신하여 지린성의 산업단지시설에 국한하여 이를 도출하였다. 전통적인 교통 4단계 수요추정방법을 근간으로 운송 분야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유라시아 동북지역 물류에 대한 인식제고와 함께 정부가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고 있는 해당지역 물류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기여한 측면이 있다고 판단된다.
Recently, master plan on the Far East three provinces in China as well as the Russian Far East coupling with ‘Eurasia Initiatives’ of our government is doubling its importance. It should take advantage of Zarubino port for the hub of Eurasia Logistics Network. This study forecasts the volume demand and whether the expected items of cargo traffic of Zarubino port with O/Ds for the region including the Far East three provinces in China. Input data and the existing basic unit of Korea were utilized in order to overcome the absence of the relevant information to the region. It was derived by them confined to the industrial complex facility in Jilin Sheng on behalf of the Far East three provinces in China as a pilot study. Suitable for the transport sector as a basis for traditional traffic demand, four-step method for estimating the proposed modifications, complementing methodologies. This study is determined that the contribution to the implications on the region’s logistics policies of our government has a commitment with raising awareness of the region’s Logistics system.
Ⅰ. 서 론
Ⅱ. 기존연구와 방법론 검토
Ⅲ. 물동량수요 추정방법과 과정
Ⅳ. 중국 지린성을 O/Ds로 한 자루비노항 경유물동량 추정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