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기업 한국자회사의 자율성은 자회사에게 주어진 역할과 권한부여에 따라 자율성의 정도가 결정되어지기도 하나 다른 요인들에 의해 정해지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회사 성과의 결정요인을 규명하고 또한 자회사 역량, 자회사관계 및 자회사구성형태와 자회사 성과와에 관계에 있어서의 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다국적기업은 본사국과는 이질적인 환경에 투자를 통해 자회사를 설립하고 이들 자회사가 본사가 기대하고 있는 성과를 창출하기를 기대할 것이다. 자율성의 조절효과의 실증분석 결과는 한국에서 경쟁하고 있는 다국적기업 자회사에게 보다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국적기업 네트워크 내에 있는 본사 또는 다른 자회사와의 상호교류관계의 정도가 높은 자회사 일수록 한국시장에서 더 높은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또한 자회사 역량의 정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자회사의 자율성은 자회사구성형태와 자회사성과 관계에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최적의 자회사구성형태와 자율성의 확보는 한국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필요조건이라 할 수 있다. 다국적기업 한국자회사가 경쟁이 치열한 한국시장에서 성과를 제고하려면 자회사 특유의 역량을 확보해야 할 뿐만 아니라 본사 및 다른 자회사로부터의 지식과 정보 획득을 통한 자회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다국적기업 네트워크 관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국적기업 한국자회사의 성과 극대화를 위한 유용한 의사결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회사의 역량제고, 다국적기업 네트워크에서의 긴밀한 관계유지 및 자율성 확보를 통해 다국적기업 한국자회사는 한국시장에서 성과를 제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subsidiary performance. In addition, moderating effect of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idiary competence, subsidiary relationship and subsidiary configurational focus, and subsidiary performance. In stud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autonomy on subsidiary performance, the results will give invaluable insights to foreign subsidiaries in Korea to better compete in competitive Korean market.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showed that subsidiary with higher level of interaction with its intra-MNC network has higher level of performance. Thus, active interaction with headquarter and its affiliates will lead to better performance. Subsidiary with higher level of competence has higher level of performance. Thus, subsidiary should attain higher level of competence to better compete in Korea. Subsidiary autonomy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igurational focus and performance. Thus, optimal MNC subsidiary configuration and attainment of subsidiary autonomy is needed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Korean market.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and Hypothesis
Ⅲ. Model and Methodology
Ⅳ. Empirical Results
Ⅴ. Conclusions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