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전자무역 운용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Obstacles and Countermeasures in the Operation of South Korea’s Paperless Trade

  • 56

본 연구는 최근 정체기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는 전자무역 연구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 위해 기획되고 연구되었다. 무엇보다 본 연구의 배경은 외국에서의 전자무역에 관한 선행문헌과 국내에서의 전자무역에 관한 선행문헌이 서로 다르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외국에서의 전자무역 연구 동향은 주로 통관 업무에 국한되어 연구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국내에서의 전자무역 연구 동향은 주로 대금결제와 선하증권의 전자화 등 대금결제의 전자화 및 전자신용장의 구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은 차이점이 실제 전자무역 구축에도 그대로 이어져 외국에서의 전자무역 구축 동향과 국내에서의 전자무역 구축 동향이 서로 다소 다르게 이루어졌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에서는 통관 및 물류 영역을 중심으로 전자무역이 구축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통관 영역의 전자화도 이루어졌지만 신용장을 포함한 결제 영역에서도 전자화도 구축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글로벌 전자무역 동향을 비교적 심도 있게 분석하였으며 한국의 전자무역 추진의 핵심 당사자인 한국무역정보통신과 관세청이 구현한 우리나라 전자무역 현황을 알아보고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전자무역 추진상의 여러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논의 결과, 우리나라 전자무역 구축은 향후 전자신용장 등 대금결제의 전자화 보다는 통관, 물류 영역의 전자화가 더욱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This article begins that previous literatures of South Korea’s paperless trade differ from those of other developed countries’ paperless trade. Some scholars in South Korea have studied on the relevance of documentary credit in the paperless trade and operability of electronic documentary credit. But Some other scholars in other developed countries have studied about e-customs and e-air logistics. As a result, The current situation of South Korea’s paperless trade differs from that of other developed countries’ paperless trade. The South Korea’s paperless trade has tried to achieve the operation of electronic documentary credit as well as e-custom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Korea Trade Network(KTNET) and Customs service’s Single Window known as Uni-pass.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s paperless trade has made an effort to develop an e-customs and e-air logistics through customs service’s Single Window. So, this article describ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s paperless trade and next, this article aims to find out the obstacles and countermeasures in the operation of South Korea’s paperless trade. Therefore this paper provide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and solutions associated with South Korea’s paperless trade.

Ⅰ. 서 론

Ⅱ. 글로벌 전자무역의 전개와 선행연구의 검토

Ⅲ. 한국 전자무역의 주요 운용 현황

Ⅳ. 한국 전자무역 운용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