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산업경제의 기업 경쟁력은 생산력에서 비롯되었다면, 최근에는 무형자산인 특허의 확보력이 기업의 글로벌경제 성공요인의 중요한 조건이 되고 있다. 특히 기술의 변화가 빠르고, 국제적 특허분쟁이 심한 IT산업에서는 국내외 특허의 전략적 확보 및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스닥기업 중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217개 IT기업들의 특허활동을 양적인 요인인 생산성과 질적인 요인인 효율성 및 고급성으로 구분하고, 기업의 재무성과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자원기반이론을 기반으로 선행연구를 실시하여 개념적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도출하고, 데이터 자료를 다중회귀모델로 실증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IT기업의 총자산 증가율에 대해 특허의 효율성과 고급성이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IT기업의 평균매출 증가율에 대해서는 특허의 세 가지 활동요인 모두 유의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다. 셋째, IT기업의 평균순이익 증가율에 대해서는 특허의 고급성만이 양(+)의 영향을 가져왔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으로 특허활동을 양적인 요인과 질적인 요인으로 구분하여 재무성과와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실무적 기여도에서는 국제적 특허분쟁이 심각한 IT기업들의 특허활동에 대해 전략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companies consider the patent activity as one of the critical factor for success in global economy even though one of the enterprise s competitiveness factor was productivity in past industry economy. Since there are so many patent dispute globally in IT industry, it is very important for companies to register and manage patents strategically.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result and 3 patent activity factors like productivity, effectiveness, and high-quality by investigating patent and financial data of 217 Korean IT enterprises. This paper get the following results after building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based on resource-based theory and analysing the data sets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First, effectiveness and high-quality of patents showed positive(+) effect on growth of total assets of IT enterprises. Second, three factors of patent activities do not have significant results with average increase rate of sales. Third, only high-quality of patents have positive(+) effect on average increase rate of net income. Th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is research is that this paper categorized patent activity factors a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actors, and practically suggested strategic direction of patent activities of IT companies which face serious patent distribute globally.
Ⅰ. 서 론
Ⅱ. 특허활동요인과 경영성과에 대한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실증결과와 해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