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정보공유 네트워크의 조직 내외부 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Use of Information Sharing Network: A Qualitative Approach

  • 17

지식근로자가 증가하고 정보의 종류가 다양해지며, 조직 간 정보의 교환이 빈번해질수록 기업 내부 정보관리시스템에 의존한 분석은 더 이상 효과적이거나 유용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내부 지식정보시스템 뿐만 아니라, 외부의 정보공유시스템을 활용하는 방안이 최근 더욱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조직 내외부의 정보공유시스템 사용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많지 않을뿐더러, 그 정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심리상태나 의도를 파악하는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지식관리시스템은 물론, 외부의 정보공유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및 키워드 분석을 실시하여 그들이 가진 정보를 공유하려는 의도와 그 요인을 관찰하였다. 조사 결과, 내부 정보공유의 경우, 조직 내부에서의 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고 내부 구성원들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하기 위한 목적이 대부분인 반면, 외부 정보공유시스템을 사용하는 목적은 자신이 보유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얻는 자기 만족감과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했다는데서 타인으로부터 얻는 신뢰감,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로부터 얻는 순수한 희열과 같은 내재적 동기가 주로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들의 관심분야, 업무 관련성, 사용자 맞춤UI, UX의 개발, 구성원 간의 다양한 소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개발 등이 매우 중요하다는 실무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As knowledge workers have increased and information interchanges become more diverse, only the resources of internal enterprise is not longer useful, and the practical use of external information through information public sharing network is even more crucial. But, few studies that use both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s together have been conducted. In this research, we carried on the depth interview to analyze the main factors that intend to utilize outside information as well as to share inside information voluntarily. In conclusion, sharing internal information is directly involved with the performance of their job exchanging simple data, past documents, and technical materials. On the other hand, using the external information belonged to several other organizations is mostly caused by the voluntary participants’ satisfaction sharing their individual experience through the network systems. Based on the study, we propose the idea that can activate both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sharing network through the system with user feedback function regarding the customized information, and with the space expansion where people can freely raise their private opinion. We also introduce the plan of the construction of communication systems with various experts, and the development of compatible devices with diverse interface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