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간 관계품질은 기업성과와 긍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긍정적인 관계품질은 거래 당사자 간 갈등을 감소시켜 강력한 파트너십을 형성하게 하고 거래비용을 낮추어 기업성과를 제고할 뿐만 아니라 강력한 조직 관계형성으로 직접적인 매출과 이익을 증가시키며 불필요한 갈등을 예방하여 기업 혁신을 촉진하여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Chiou& Droge, 2006; Cannon & Homburg, 2001; Rindfleisch & Mooramn, 2001). 이에 본 연구는 공급자 관점에서 관계학습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관계학습과 관계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수출기업과 내수기업 간에 기업의 관계학습 영향요인과 관계성과에 관해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한 결과, 첫째, 관계학습 영향요인인 결속수준, 환경불확실성, 학습의도는 관계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학습 영향요인 중 거래특유 자산의 경우 관계학습 요인 중 정보공유와 관계특유 기억에 영향을 미치지만 공동이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학습이 관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신뢰가 높을수록 관계학습이 관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apid changing technology and globalization allow consumers get information and new products or services faster, have more choices than before, which might be causing more competitive and more uncertain demand. The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enterprises positively influence the rel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is research, enterprises should realize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learning to improve the competitive advantage. Also this research provide the strategic solutions to promote the relationship learning. this is considered to be able to present an improved direction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yer and the supplier.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this research provides implications for large enterprises and SMEs to promote their coexistence relation. The empirical model of this paper is established on basis of previous research.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first, as the influence factors, relation solidarity level, environmental uncertainty, learning intension affect relationship learning, whilst special transaction assets influence information shared and relationship memory and have no effect on mutual understanding; second, relationship learning influence on relational performance and this influence relation becomes stronger if the relationship trust is higher.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실증분석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