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 비해 현재 소비자는 제품 및 시장 관련 다양한 국내외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B2C는 개별국가의 범위 내에서 진행되어 왔다. 무역이나 해외시장에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일반 소비자는 국가 간 B2C 유형인 해외직구에 대해 대체로 친숙하지 않거나 심지어 두려움을 가진다. 하지만 B2C 영역이 더 이상 국내거래에만 국한되지 않고 있다. 또한 Amazon, eBay 등 글로벌시장에서 활동하는 거대한 B2C 업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외직구의 규모도 급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 수준의 자료를 활용해 해외직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해외직구 관심도와 관련 소비자 개방성, 혁신성, 제도환경 순응성 등 개별국가 소비자 특성의 영향력에 대해 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시장 불확실성, 물류 인프라 등 개별국가의 외부 환경의 조절효과를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자원기반이론(RBV, Resource-Based View), 제도이론(Institutional Theory), 거래비용이론(TCA, Transaction Cost Analysis), 온라인 쇼핑 수용모델(OSAM, Online Shopping Acceptance Model) 등을 활용해 해당 변수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Many customers of individual countries are interested in overseas direct purchase. B2C is not limited in a domestic market anymore. There are giant online shopping sites such as Amazon and eBay around the world. Many local and overseas customers can access and purchase products via B2C sites. Market size of overseas direct purchase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Overseas direct purchase can be closely associated with trade or international commerce due to the massive increase. This study aims at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overseas direct purchase in the country-level not customer-level.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relationships between overseas direct purchase and customer determinants including openness, innovativeness, and strategic confirmity to normative institution. Also, moderating effect with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logistics infrastructure and market uncertainty. Relying on RBV, TCA, Institutional theory, and OSAM model, this study justifies how internal and external determinants can increase or decrease consumer awareness on overseas direct purchase.
Ⅰ. 서 론
Ⅱ. 국제통상 분야에서의 해외직구
Ⅲ. 해외직접구매 관심도 결정 요인
Ⅳ. 실증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