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852.jpg
KCI등재 학술저널

2015 개정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n Connections between Elementary Curriculum and a Textbook of Pleasure Life

  • 328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교과인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을 미술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누리과정 및 초등학교 3~4학년과의 비교를 통해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구조를 파악하고 교과서의 설계방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통합 교과서 내에서 ‘즐거운 생활’의 분포와 ‘즐거운 생활’ 내 음악적 요소, 조형적 요소, 신체적 요소의 비율을 분석하였으며,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교수·학습 활동의 구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통합 교과서에는 ‘즐거운 생활’ 교과가 절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즐거운 생활’ 교과 내에서도 조형적 요소가 포함된 활동의 비율이 높았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교과서 구현 양상을 보면 참고작품이나 예시 이미지에서 같은 재료와 표현을 반복하는 경우, 학생 활동이 단조로운 경우, 또한 자료나 학생의 수준에 맞지 않는 경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무엇보다 아동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학습 내용 선정이 필요하며, 교과서에서도 학생들이 사고 및 감각을 자극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생 활동을 정교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well textbook contents reflect curriculums focused on ‘Pleasant Life’ which is the subject for the first and second-grade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 curriculum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and students’ activities in textbook. The findings indicate the ratio of art-related content is comparatively high in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In particular, modeling element takes a large proportion out of musical, physical, and art-related elements. The textbook includes monotonous and repetitive examples of students activities and some of them are les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textbook should deal with various examples to enable students to use their multiple intelligences and curriculum should consider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knowledge background.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