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동북아시아 국가의 석유정제설비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ve Efficiency of Northeast Asian Country s oil Refinery Facilities

  • 4

글로벌 금융위기의 진원지인 동북아시아 지역은 전통적으로 석유의 생산 및 소비 불균형이 심화된 지역이며, 최근에는 급증하는 석유거래로 인해 저장 및 수송설비의 부족현상까지 겪고 있어 안정적 석유 공급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동북아시아 지역 내 독립적인 석유물류허브 기능을 갖춘 시설과 석유거래의 기능까지 담당할 수 있는 시장의 형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 지역의 석유물류허브 구축 후보 국가를 대상으로 한 석유산업 관련 설비인 정제시설의 정태적 및 동태적 효율성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동북아 역내 주요 국가들의 석유정제설비의 효율성은 우리나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가 동북아시아 지역의 석유물류거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Northeast Asia where is an epicenter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 conquest is traditional imbalanced region of oil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recent years, the region has been suffered by the shortage of oil storage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due to surging oil trading and necessity in strategic reserves. Therefore, since independent petroleum logistics with the storage facilities and oil trading hub is required to form efficient oil market in this reg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iciency of refinery facilities by country that is of importance in being a logistics hub in Northeast Asia by employing non-static and dynamic efficiency analysis, which are a part of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then policy implications have been drawn. The result illustrates Korea s is the highest country in terms of efficiency of oil refining facilities in Northeast A

Ⅰ. 서론

Ⅱ. 동북아 지역의 석유물류허브 구축의 배경과 필요성

Ⅲ. DEA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