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지방정치에서 신뢰가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인 신뢰와 제도 및 정치 신뢰를 중심으로

  • 94

이 연구는 정치효능감과 사회적 자본의 요소 중 하나인 신뢰는 효과적인 지방정치와 지역발전을 위해 필요한 요인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신뢰가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전광역시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대인신뢰 및 정치신뢰와 정치효능감의 영향 관계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 측정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 한 결과, 지방정부의 자치에 대한 신뢰와 일반적 정치신뢰로 묶인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분권화가 전개됨에 따라 지방정부의 자치기능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이 점차 명확해 지고 있는 결과로 사료된다. 둘째, 회귀 분석결과 대인신뢰와 정치신뢰 모두 정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자치에 대한 신뢰가 정치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대인신뢰에서는 특수신뢰가 정치효능감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민의 지방자치에 대한 신뢰형성 및 증진을 통한 정치효능감 제고가 효과적인 지방분권과 지방정치를 작동시킬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e political efficacy and social capital(trust) are necessary factors for local politics and regional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its impact with a survey of citizens in Daeje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a question item of trust measurement, Institutional and political trust was divided into trust in the local autonomy and general political trust. (2)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both trust in people and trust in institution and politics hav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olitical efficacy. In particular, trust in local autonomy and particularized trust were found to have had the greatest impact on political efficacy. Hence, it is necessary to heighten the level of people’s political efficacy by increasing the trust in people and trust in local autonom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기존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결과

Ⅴ.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