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문화역량으로서의 자기효능감 강화를 위한 메타인지 연구
Study on Meta-cognition for Strengthening Self-efficacy as Intercultural Competence
-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 국제문화연구
- Vol.13 No.1
- : KCI등재후보
- 2020.06
- 53 - 77 (25 pages)
본고에서는 문화다양성 시대 상호문화역량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방법론으로 제시되고 있는 메타인지와 그 결과적 힘인 자기효능감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찰을 문화지능 전략으로서의 메타인지 효과와 함께 논의해 보겠다. 기존의 상호문화학습이 지식 전달에 그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등장한 문화지능 이론은 다른 문화를 지식으로 받아들이는 학습을 넘어 인간관계에서의 사회심리학적 역동성을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 이해로의 방향 전환을 꾀하고 있다. 이어서는 유럽연합과 유럽평의회가 상호문화역량 강화를 위해 제시하고 있는 상호문화학습 프로그램에 녹아 있는 메타인지적 접근이라는 구체적 사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유럽의 상호문화학습 전략을 보면 생각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자각 이 핵심으로 자리하고 있다. 생각에 대해 생각하기 라는 메타인지 능력의 개발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요약해 본다면, 문화다양성 시대에 새롭게 요청되고 있는 상호문화역량은 상호문화학습을 통해 개발될 수 있는데, 그때 중요한 한 가지가 바로 메타인지이다. 그리고 그러한 메타인지 능력 강화는 다문화적 상황에 임하는 개인의 자기효능감 향상으로도 이어진다고 보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meta-cognition proposed as the methodology for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self-efficacy as a result. And under such theoretical background, we will discuss meta-cognitive effects as cultural intelligence strategy. The theory of cultural intelligence emerged based on the problem that traditional intercultural learning was only the transfer of knowledge. Beyond learning to accept other cultures as knowledge, it seeks to reorient to intercultural understanding based on socio-psychological dynamics in human relations. In addition, we will analyze the meta-cognitive approaches and methods in the intercultural learning program proposed by the European Union and the Council of Europe to strengthen intercultural capacity with specific exampes. In Europe s intercultural learning strategy, awareness of the ability to think is at the core. It is the development of meta-cognitive ability called the thinking about thought ability.
Ⅰ. 문화다양성 시대와 상호문화역량
Ⅱ. 상호문화적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
Ⅲ. 문화지능 전략으로서의 메타인지 효과
Ⅳ. 유럽연합(EU) 상호문화학습에서의 메타인지 활용과 강화
V.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