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유럽연합과 동아시아에서 분석적 개념과 외교전략으로서 인간안보에 대한 서로 다른 수준의 인식에 대해 다룬다. 인간안보 개념은 결핍으로부터 자유, 공포로부터의 자유, 자신의 의사대로 행동할 자유 등 개인의 확장된 자유와 추가적인 보호를 강조한다. 안보와 인권을 결합시킨 이 개념은 보호책임과 동의어로 쓰이는 좁은 의미의 정의와 유엔개발프로그램에서 규정된 넓은 의미의 정의가 존재한다. 유럽연합에서 정책개념으로서 인간안보는 최근의 재건과 인도주의적 지원 미션을 반영한 경제발전 측면보다는 육체적 통합과 동등한 참여를 강조하는 포괄적인 상위용어로 해석되고 있다. 반면 동아시아의 많은 정부는 전통적으로 안보개념을 내적 또는 외적 주권에 대한 보호에 초점을 맞추면서 인간안보 주장을 제한해왔다. 동아시아에서는 인간안보라는 용어 대신 공기오염, 사이버안보, 음식 안전, 자연재해 등을 포괄하는 비전통안보라는 개념이 사용됐다. 결과적으로 주권문제에 대해 탈정치화하고 기능적으로 제약된 협력에 합의한다면 동아시아와 유럽연합 사이에 실용적 협력에 대한 상당한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ffering levels of recognition of human security as an analytical concept as well as a foreign policy strategy in the EU and East Asia. The term emphasizes additional protection and expanded freedoms for individuals: the freedom from want, the freedom from fear, and the freedom to take action on one’s own behalf. The idea of combining security and human rights can be construed as a ‘narrow version’ of human security, often equated with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R2P), or a so-called ‘broad’ approach as defined by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In the EU, human security as a policy concept is currently interpreted as an umbrella term, highlighting concerns about physical integrity and equal participation rather than economic development, reflecting the EU’s recent turn towards post-conflict reconstruction and humanitarian assistance missions. In contrast, many governments in East Asia have traditionally asserted security concepts safeguarding internal and external sovereignty, thereby limiting human security claims favouring the individual and its wants. Instead of human security, the term ‘non-traditional security concerns’, which includes air pollution, food safety, cyber security, and natural disaster relief, is often used in East Asia. As a consequence, a considerable potential for pragmatic cooperation between East Asia and the EU is apparent, as long as this cooperation remains functionally limited and de-politicized with regard to sovereignty concerns.
Ⅰ. Introduction: Emergence of the Human Security Concept
Ⅱ. The Development of the EU approaches to Human Security
Ⅲ. Threat Perceptions in the EU
Ⅳ. EU Policy Responses
Ⅴ. The Development of Human Security and Threat Perception in East Asia
Ⅵ. East Asian Policy Response
Ⅶ. Conclusion: Convergence and Divergence with Possibility of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