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888.jpg
학술저널

모래채취선에서 배출되는 고탁도 배출수 확산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변동

Variations of Marine Environments and Phytoplankton in High Turbidity Water from Sea Sand Mining Vessel

  • 54

남해 배타적경제해역에서 해사채취과정에 배출되는 고탁도 배출수의 확산과 해양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세포밀도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모래채취선에서 배출된 고탁도 배출수에 포함된 부유사는 빠르게 침강하여 선박에서 해류방향으로 약 2.5 km 범위까지 영향을 미치고, 그 이후는 원상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는 배출수의 부유사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0.4~10㎛ 크기의 미세입자에 대한 고려가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실제 고탁도 배출수에 포함된 미세입자는 해수에 유입된 이후 매우 넓은 해역을 오랜 시간 침전되지 않고 부유하거나 외력에 의해 쉽게 재부유하는 성질을 가진다. 때문에 해역의 투명도를 저하시켜 광합성 생물의 성장을 저해하거나, 해조류 엽상체에 부착하여 성장을 저해하는 등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진다. 그러기에 국내의 해사채취에 따른 해양환경과 생태계의 영향 파악에도 미세입자에 대한 내용 도입으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결과도출이 요구된다.

The diffusion of the high turbidity water in the process of sea sand mining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EEZ) of the South Sea and the related aspects of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s and the cell density of phytoplankton were analyzed. The suspended solid included in the high turbidity water from sand mining vessel sunk quickly to affect approximately up to 2.5 km ranges in the sea current direction from the vessels and original states of the sea waters were recovered thereafter. However, these results are shown because 0.4~10 ㎛ fine particles accounting for most of the suspended solid in the effluent are not considered. In fact, the fine particles contained in high turbidity water have properties to float for long periods of time without settling in quite wide areas or easily resuspended by external forces. Therefore, they are known to greatly affect marine environments and marine ecosystems by reducing the transparency of waters to hinder the growth of seaweed and seagrass or by sticking to the thalluses of seaglass. Therefore, the contents regarding fine particles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sea sand mining in Korea on marine environments and ecosystems to derive more reliable results.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요 약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