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사 수업에서 공평교수의 실천방안

Practical method of Equity Pedagogy in Korean History class

  • 191
152899.jpg

본 연구는 한국어가 서툴고 한국사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한 중도입국청소년에게 한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교수전략을 탐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의 중요한 철학적 기반인 공평교수(Equity Pedagogy)에 주목하였고, 한국사 수업에서 공평교수를 실천하는 방안을 교수 기술적 측면, 교수 내용적 측면, 교수 구성적 측면인 세 가지 측면에서 탐색해 보았다. 아울러 한국사 수업에서 공평교수를 실천하는 수업 설계방안으로 모국문화와 연계한 내러티브 수업을 제안하였다. 모국문화와 연계한 내러티브 수업은 낮은 한국어 실력으로 인해서 한국사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중도입국청소년에게 유용한 수업 방안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배경 학생의 급격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낯선 학습자인 중도입국청소년에 주목하여 이들의 현실과 요구를 반영한 교수전략을 탐색한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중도입국청소년을 포함한 다양한 배경의 소수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사 교수전략이 더욱 활발하게 논의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rategies for teaching Korean history to immigrant adolescents with the theoretical basis of equity pedagogy, which is the key philosophical concept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significance in suggesting a study on teaching strategies that can aid practical classroom lessons when there is little to no discussion on Korean history education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Second, there is significance in exploring teaching strategies that reflect the realities and needs of immigrant adolescents by focusing on the students themselves, who are still unfamiliar learners, despite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This study will suggest new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research for minority learners in terms of ethnicity, language, and social economy.

Ⅰ. 서 론

Ⅱ. 공평교수의 의미와 요건

Ⅲ. 한국사 수업에서 공평교수의 실천 방안 탐색

Ⅳ. 공평교수 기반의 한국사 수업 설계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