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02.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려-몽골 관계 깊이 보기

Take a Deep Look at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 141

1340년경에 이제현과 안축이 지은 「乞比色目表」와 「請同色目表」는 고려-몽골 관계 및 그와 연동된 고려의 권력구조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그에 대한 고려국왕 및 신료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데에 도움을 준다.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후기 관련 단원 내 ‘공민왕의 개혁’에 대한 내용 부분에서 이 자료들을 심화학습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두 자료를 통한 심화학습은 역사교육의 측면에서 볼 때 크게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첫째, 국제관계사 서술에서 ‘이분법적 구도’를 지양하는 중학교 『역사』 집필기준(2015 개정)에 부합하여, 고려-몽골 관계 및 당시의 정치적 상황을 ‘간섭과 저항’이라는 이분법적 구도에서 벗어나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고려후기의 역사상과 관련하여 한국사 교육과정이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두 가지 문제를 계기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즉 원의 고려 내정 간섭이 이루어지는 갈등적 관계 속에서 성리학의 도입을 가능하게 했던 고려-원 간 활발한 문물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졌던 것인가의 문제이다. 「걸비색목표」와 「청동색목표」에서 보이듯, 고려의 신료들은 몽골과의 관계가 고려의 정체성 혹은 국체를 부정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문제를 제기하며 시정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역시 두 사료에서 보이듯, 이 시기 고려의 신료들은 몽골황제권이 정점이 되고 그와의 관계를 통해서 권력이 부여되는 고려의 권력구조에 대해서는 충분히 인지하고 각자의 상황에서 이를 활용하였다. 이는 고려국왕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즉 당시 고려인들은 고려라는 단위의 정체성을 중요시하면서도 그 상위에 존재하는 원, 몽골의 존재와 권위 역시 부정하지 않았던 것이다. 원 간섭기 원의 고려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 행사와 양국 간의 활발한 인적 교류는 이러한 구조와 인식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Yi Je-hyeon and An Chuk s writing ‘Treat Goryeo as Saekmok(乞比色目表/請同色目表)’ can be utilized for class as a deep study material on the part of “Reform of the King Gongmin(恭愍王)” in the textbook “Korean History” for high school. Using these materials, we can deeply understand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and the power structure of Goryeo based on it, and look at the perceptions of the Goryeo kings and their subjects on it. This has two main meanings in terms of history education. 1st. Regarding the criteria for writing “History” (2015 revision) of middle school that avoids “differential structure” in the descriptions of international relations, we can understand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and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beyond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intervention and resistance.” 2nd. This helps to understand the two important issues of the Korean history curriculum in relation to the history of the late Goryeo Dynasty. In other words, it is a question of how the unprecedentedly active exchange of culture, which enabled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amid the conflict between Won s interference in internal affairs, took place. As shown in this document, Goryeo officials raised questions about the problem with the Mongol empire denying the identity of Goryeo and demanded correction. In addition, as also shown in the two documents, they were fully aware of the power structure of Goryeo, where the Mongol emperor s power was at its peak and power was given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him, and utilized it in their respective situations. The same was true of the Goryeo kings. In other words, the Goryeo people valued the identity of the unit, but did not deny the existence and authority of Mongolia, which existed at the top. The Mongol empire s exercise of political influence on Goryeo and active human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understandable in this structure and awareness.

Ⅰ. 머리말

Ⅱ. 「乞比色目表」와 「請同色目表」 소개

Ⅲ. 「乞比色目表」와 「請同色目表」를 통해 보는 고려-몽골 관계

Ⅳ. 맺음말 : 고려-몽골 관계 깊이 읽기와 역사교육

로딩중